2025년 3월부터 적용되는 보조배터리 규정과 기내반입 가이드
최근 항공기 화재 사고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에게 2025년 3월부터 시행되는 항공기 기내반입 보조배터리 규정 변경사항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이 규정 변경은 항공 안전을 강화하고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 민간항공기구(ICAO)의 새로운 지침에 따른 것입니다. 여행에 차질이 없도록 변경된 규정을 확인하세요. 기존에 기내반입 가능, 불가능 물품도 정리하였으니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부터 변경된 규정
- 20,000mAh(74Wh) 이하: 기내 반입만 가능, 개수 제한 없음
- 20,000mAh(74Wh) 초과 ~ 27,000mAh(100Wh) 이하: 기내 반입만 가능, 1인당 최대 2개로 제한
- 27,000mAh(100Wh) 초과 ~ 43,000mAh(160Wh) 이하: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1인당 최대 2개로 제한
- 43,000mAh(160Wh) 초과: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불가
보조배터리 규정 변경사항 비교표
보조배터리 용량 2025년 3월 이전 2025년 3월 이후 비고
20,000mAh(74Wh) 이하 | 기내 반입 가능 (제한 없음) |
기내 반입 가능 제한 없음) |
위탁 수하물 불가 |
20,000mAh(74Wh) 초과<br>~27,000mAh(100Wh) 이하 | 기내 반입 가능 (제한 없음) |
기내 반입 가능 (1인당 최대 2개) |
신규 구간 신설 위탁 수하물 불가 |
27,000mAh(100Wh) 초과<br>~43,000mAh(160Wh) 이하 | 항공사 승인 필요 (1인당 최대 2개) |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1인당 최대 2개) |
위탁 수하물 불가 |
43,000mAh(160Wh) 초과 | 반입 불가 | 반입 불가 | 기내/위탁 모두 불가 |
주요 변경점
- mAh 기준 도입: 기존 Wh 단위만 사용하던 것에서 일반 소비자들이 더 친숙한 mAh 단위를 병행 표기
- 20,000mAh 구간 신설: 소형 보조배터리(20,000mAh 이하)와 중형 보조배터리(20,000~27,000mAh) 구분
- 보조배터리 표시 의무화: 모든 보조배터리에는 용량이 명확히 표시되어야 함
- 포장 요구사항 강화: 단자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별 포장 필요
기내 반입 가능한 물품 목록
전자기기 및 배터리
-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개인용 전자기기
- 디지털카메라, 캠코더(리튬배터리 내장형)
- 전기면도기, 전동칫솔(안전 잠금장치 필수)
- 드론(배터리 분리하여 기내 반입)
- 전자담배(배터리 분리, 액상은 100ml 이하로 제한)
생활용품
- 화장품, 향수 등 액체류(100ml 이하 용기, 1L 투명 비닐봉지에 담아야 함)
- 의약품(처방전이나 의사소견서 지참 권장)
- 유아용 음식 및 음료(적정량)
- 안경, 콘택트렌즈 및 관련 용액
- 우산(접이식)
- 도서, 잡지 등 인쇄물
개인 소지품
- 의류, 신발, 액세서리
- 소량의 식품(과일, 샌드위치 등)
- 휠체어, 목발 등 의료 보조 기구
- 유모차, 아기 캐리어(탑승구에서 위탁 가능)
- 악기(소형, 기내 선반에 보관 가능한 크기)
기내 반입 불가능한 물품 목록
위험물질
- 폭발물, 화약류, 폭죽, 조명탄
- 가연성 물질(라이터용 연료, 페인트, 시너)
- 압축 가스 용기(산소통, 부탄가스, 스프레이 등)
- 독극물, 방사성 물질, 산화성 물질
- 자석(강력 자석은 항공기 장비에 간섭 가능)
무기류
- 총기, 모의 총기, 총기 부품
- 칼, 가위(날길이 6cm 초과), 면도칼
- 봉, 곤봉, 전기충격기, 호신용 스프레이
기타 제한 물품
- 160Wh 초과 리튬 배터리
- 스마트 수하물(분리 불가능한 리튬 배터리 내장)
- 액체류 100ml 초과 용기
- 동물(인증된 안내견 제외)
- 스포츠 장비(야구 방망이, 골프 클럽, 아이스 스케이트 등)
-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도구(손톱깎이 큰 것, 송곳 등)
보조배터리 안전한 기내 반입 팁
- 용량 확인: 구매한 보조배터리의 정확한 용량(mAh 또는 Wh)을 확인하세요.
- 용량 표시 확인: 보조배터리에 용량이 명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표시가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 반입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 개별 포장: 단자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원래 포장이나 절연 테이프로 단자를 보호하세요.
- 손상된 배터리 사용 금지: 외관이 훼손되었거나 부풀어 오른 보조배터리는 절대 기내에 반입하지 마세요.
- 항공사 규정 확인: 탑승 예정인 항공사의 홈페이지에서 해당 항공사만의 특별 규정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결론
2025년 3월부터 시행되는 항공기 기내반입 보조배터리 규정 변경은 항공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여행 전 자신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규정에 맞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조배터리 외에도 항공여행 시 기내반입 가능 물품과 불가능 물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숙지하여 공항에서의 불필요한 지연이나 물품 압수를 방지하고,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특히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이 아닌 반드시 기내 반입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여행 계획 시 참고하시고, 즐겁고 안전한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국내여행 >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유럽여행 가이드 (0) | 2025.03.20 |
---|---|
부모님과 함께하는 힐링여행 효도여행 가이드 (0) | 2025.03.19 |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완벽한 여행 가이드 (0) | 2025.03.18 |
여행에서 인생샷 남길 수 있는 꿀팁 대방출 (0) | 2025.03.18 |
여행이 쉬워지는 마법 같은 테크 아이템 (1) | 2025.03.17 |